안녕하세요~~~~
오늘은 C언어 연산자에 대해서 준비해봤습니다~~~
오늘 글은 그렇게 알려드릴게 많지 않고 다 익히셔야 하는 거라서 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렇게 표로 정리해봤는데요,
1. 증감 연산자는 말그대로 증가, 감소입니다.
값이 있으면 예를 들어
a++ 이렇게 써주면 a값이 1씩 증가한다는 것이고
a-- 이렇게 써주면 a값이 1씩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2. 산술 연산자는
+는 더하기 -는 빼기 *는 곱하기 /는 나누기 %는 나머지인데
%가 생소하실 수 있습니다. 이거는 a랑 b값이 있다고 하고 a%b 를 해주면
a를 b로 나누고 남은 나머지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걸 말로만 하면 이해 안가실 수도 있어서 코드로 한번 보여드릴게요 ㅎㅎ
계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코드는 아주 간단합니다.
저는 a를 4, b를 3이라고 두고 돌려봤습니다.
그럼 이렇게 4를 3으로 나눈 나머지인 1이 나옵니다ㅎㅎ
3.대입 연산자 =은 int a=1; 처럼 a에 1을 대입하는 그런 연산자구요
4. 논리 연산자는 영어의 AND나 OR, NOT 이런 걸 뜻하는데요(생소하실 수도 있어요),
&&가 AND, ||가 OR, !가 NOT을 뜻합니다.
&&이나 ||는 3이나 5같이 숫자를 따지는 것이 아니고
참 거짓을 따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참일 때는 1, 거짓일 때는 0이 됩니다.
&&인 경우에는
a=(x>y)&&(x>3); 이렇게 있다고 하면
&&는 AND기 때문에 빨간색 부분과 파란색 부분 모두 참이어야 a가 참이 되어 값이 1이 됩니다.
만약에 둘중 하나라도 거짓이라면 a는 거짓, 즉 0이 됩니다.
||인 경우에는
a=(x<y)||(y<5); 이렇게 있다고 하면
||는 OR이기 때문에 빨간색 부분이나 파란색 부분중에서 하나만 참이어도 a가 참이 되어 값이 1이 됩니다.
a가 거짓이 되려면 빨간색 부분과 파란색 부분 모두 거짓이 되어야 합니다.
!는 NOT인데 흔히 =랑 같이 쓰여서
a!=b 라 쓰면 a는 b가 아니다 가 됩니다.
5. 조건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식이 참인가 거짓인가에 대해서 예를 들어 참이면 A실행문을 실행하고
거짓이면 B실행문을 실행하게 됩니다.
구조는
조건식 ? 실행문1:실행문2;
인데 세미클론은 마지막에 써주도록 합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조건식이나 실행문을 ()로 묶어주는 걸 보실 수 있는데
제가 ()없이 해보니까 ()없어도 잘 실행됩니다~~
조건 연산자와 관련된 간단한 코드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코드는 a랑 b값 중 더 큰 값을 출력하는 코드인데요,
a가 1, b가 2라고 설정해주고
5번째 줄을 보시면 a>b 에서 a가 더 클때는 big값이 a가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big 값이 b가 됩니다.
그래서 big값이 b인 2가 된 것이고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이렇게 출력되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6. cast 연산자는 형 변환 연산자라고도 하는데요,
값의 형태를 변환시켜주는 연산자 입니다.
구조는
(형)값 인데, 형은 int나 float 처럼 형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int는 정수형이고 float은 실수형이니까
(int)2.3 을 써주면 이거는 2가 되겠죠???
이게 잘 이해 못하실 수도 있으니까 코드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걸 보시면 a=3.3+4.8; 에서 둘을 더하면 8.1인데 int a; 라고 선언해주어
a값이 정수형이므로 8밖에 출력이 안됩니다.
b = (int)3.3 + (int)4.8; 에서 cast 연산자를 써주어서 3.3과 4.8이 각각
int, 즉 정수형으로 변환되어 값이 각각 3과 4가 됩니다.
그래서 b는 7이 됩니다.
실행시켜보면 이렇게 출력되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것말고도 연산자가 아주 많습니다ㅜㅜㅜㅜ
하지만 연산자는 C언어에서 모르면 안될 아주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ㅎ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C언어] C언어 기본적인 입출력 코드 작성하기: printf(), scanf() (0) | 2020.04.29 |
---|---|
[C언어] 변수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4.22 |
[C언어] C언어란? (0) |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