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C언어 변수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ㅎㅎㅎ
변수형이라고 하면은 제가 여러번 블로그에서 언급도 했었지만
제대로 글을 쓴 적이 없는데요, 오늘 한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변수형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요,
변수는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변수형이란 그런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의 형태를 뜻합니다.
데이터 값에는 문자, 정수, 실수 등이 있을 수 있기에
각각에 맞는 변수형을 써줘야 합니다.
변수형의 종류에는 기본적으로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이 있습니다.
먼저 문자형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면
문자형에는 char 라는 변수형이 존재합니다.
char 는 character 를 뜻하는데 문자형의 데이터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char= a; 라고 쓰게 된다면 a를 문자형 변수로 생성해준다는 뜻이 되겠죠??
또한 char 라는 것은 앞에 signed 라는 것이 생략되어 있는데,
부호가 있다는 뜻이 됩니다.
이와 반대로 unsigned char 라고 써준다면 부호없는 문자형이 되는 것이죠.
다른 변수형도 다 마찬가지입니다.
정수형에는 int, short, long 이 있는데요
int는 많이 보셨죠???
가장 기본적인 정수형이고, 범위는 -2,147,483,648 ~ 2,147,483,647 이고
부호 없는 unsigned int 를 사용하면 범위는 0 ~ 4,294,967,295 까지 됩니다.
short와 long은 각각 단정도형 정수, 배정도형 정수라고 부르는데
배정도형이 단정도형 정수보다 정밀도가 높고
(이부분은 처음엔 듣고 넘기셔도 됩니다.)
둘다 unsigned short, unsigned long 를 사용하면 양수가 되기 때문에
범위가 넓어집니다.
실수형에는 float, double 등이 있는데
float을 단정도형 실수, double은 부정도형입니다.
그래서 double이 float 보다 정밀도가 높습니다.
이번에는 변수형에 대해서 살짝 겉핥기 느낌으로 무엇이 있는지,
unsigned가 뭔지에 대해서만 알아봤구요,
사실 각각 변수형마다 바이트 수가 다르기 때문에 수의 범위도 달라집니다.
이거는 진수에 관한 거라서 다음 번에 더 자세히 쓰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C언어] C언어 기본적인 입출력 코드 작성하기: printf(), scanf() (0) | 2020.04.29 |
---|---|
[C언어] 연산자에 대해서 (0) | 2020.04.27 |
[C언어] C언어란? (0) | 2020.04.15 |